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컬링

덤프버전 :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 컬링
파일: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 로고.svg
날짜2010년 2월 16일 ~ 2월 27일
경기장밴쿠버 올림픽 센터
종목남자, 여자
챔피언남자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여자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20062014
1. 개요
2. 출전권
3. 참가 선수 명단
3.1. 남자
3.1.1. 각 팀 스킵 간략 정보
3.2. 여자
3.2.1. 각 팀 스킵 간략 정보
4. 경기 결과
4.1. 남자
4.1.1. 예선
4.1.2. 결선
4.2. 여자
4.2.1. 예선
4.2.2. 결선
5. 최종 메달리스트


1. 개요[편집]


2010년 2월 16일부터 2월 27일까지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에서 개최된 컬링 종목 일정 및 결과를 정리한 문서.

남자부에서는 캐나다가 전승 우승으로 대회 2연패에 성공했다.

여자부에서는 스웨덴의 아네테 노르베리가 대회 2연패에 성공했다. 중국의 왕빙위는 동메달을 따면서 아시아 국가로는 처음으로 올림픽 컬링에서 메달을 획득했다.

2. 출전권[편집]


밴쿠버 동계올림픽 출전은 개최국인 캐나다를 제외한 올림픽이 있기 직전 3년간 세계선수권 성적에 따른 포인트로 개최국 제외 상위 10국을 정했다.

  • 남자
국가2007 세계선수권2008 세계선수권2009 세계선수권합계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14141240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스코틀랜드)3.5121429.5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125724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106824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3.5101023.5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92920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6.58519.5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3.54613.5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9413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83-11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3.57-10.5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6.5-17.5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123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3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1--1

  • 여자
국가2007 세계선수권2008 세계선수권2009 세계선수권합계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1414937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6121432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1281030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7.571226.5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7.510825.5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96419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스코틀랜드)103518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45615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44715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49-13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1.5214.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33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1.51-2.5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22

3. 참가 선수 명단[편집]



3.1. 남자[편집]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파일:독일 국기.svg 독일파일:미국 국기.svg 미국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스킵] 토마스 울스루
[서드] 토르게르 네르고르
[세컨드] 크리스토페르 스바에
[리드] 호바르 바드 페테르손
[핍스] 토마스 뢰볼드
[포스] 조니 프레데릭센
[스킵/서드] 울릭 슈미트
[세컨드] 보 옌센
[리드] 라르스 빌란트
[핍스] 미켈 폴센
[스킵] 앤디 캅
[서드] 안드레아스 랑
[세컨드] 홀저 호네
[리드] 안드레아스 켐프
[핍스] 다니엘 헤르베르크
[스킵] 존 슈스터
[서드] 제이슨 스미스
[세컨드] 제프 아이작슨
[리드] 존 벤튼
[핍스] 크리스 플라이스
[스킵] 니클라스 에딘
[서드] 세바스티안 크라우프[1]
[세컨드] 프레드릭 린드베리
[리드] 빅토르 켈
[핍스] 오스카르 에릭손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파일:영국 국기.svg 영국파일:중국 국기.svg 중국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포스] 랄프 스토클리
[서드] 얀 하우저
[스킵/세컨드] 마르쿠스 에글러
[리드] 시몬 스트뤼빈
[핍스] 토니 뮐러
[스킵] 데이비드 머독
[서드] 이원 맥도널드
[세컨드] 피터 스미스[2]
[리드] 유언 바이어스
[핍스] 그레임 코널
[포스] 류루이
[스킵/서드] 왕펑춘
[세컨드] 쉬샤오밍
[리드] 장지아량
[핍스] 리홍천
[스킵] 케빈 마틴
[서드] 존 모리스
[세컨드] 마크 케네디
[리드] 벤 허버트
[핍스] 애덤 엔라이트
[스킵] 토마 듀포
[서드] 토니 앙기보
[세컨드] 장 뒤크로즈
[리드] 리샤르 뒤크로즈
[핍스] 라파엘 마티

3.1.1. 각 팀 스킵 간략 정보[편집]



  • 울릭 슈미트(덴마크): 유럽선수권 3회 준우승
2002 솔트레이크시티 올림픽(7위)에도 출전했다.

1998 나가노 올림픽(8위)과 2006 토리노 올림픽(8위)에도 출전했다.




2006 토리노 올림픽(4위)에도 출전했다.

  • 왕펑춘(일본): 태평양선수권 2회 우승(2007·2008), 2007 아시안게임 동메달, 2009 유니버시아드 동메달


2002 솔트레이크시티 올림픽(10위, 세컨드)에도 출전했다.

3.2. 여자[편집]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파일:독일 국기.svg 독일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파일:미국 국기.svg 미국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포스] 마델레이네 두폰트[3]
[서드] 데니세 두폰트[4]
[스킵/세컨드] 안젤리나 옌센[5]
[리드] 카밀라 옌센[6]
[핍스] 아네 한센
[스킵] 안드레아 숍
[서드] 모니카 바그너[7]
[세컨드] 멜라니 로빌라드
[리드] 스텔라 하이스
[핍스] 코리나 숄츠
[스킵] 류드밀라 프리비프코바
[서드] 안나 시도로바
[세컨드] 은케이루카 에제크
[리드] 예카테리나 갈키나
[핍스] 마르가리타 포미나
[스킵] 데비 맥코믹
[서드] 앨리슨 포팅거
[세컨드] 니콜 조란스태드
[리드] 나탈리 니콜슨
[핍스] 트레이시 샤첸
[스킵] 아네테 노르베리[8]
[서드] 에바 룬드
[세컨드] 카트리네 린달[9]
[리드] 안나 레 모이네[10]
[핍스] 카이사 베르그스트룀[11]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파일:영국 국기.svg 영국파일:일본 국기.svg 일본[12]파일:중국 국기.svg 중국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스킵] 미리암 오트
[서드] 카르멘 샤퍼
[세컨드] 카르멘 퀑
[리드] 야닌 그레이너
[핍스] 이레네 쇼리
[스킵] 이브 뮤어헤드
[서드] 재키 록하트
[세컨드] 켈리 우드
[리드] 로나 베버스
[핍스] 앤 레어드
[스킵] 메구로 모에
[서드] 오미야 안나[13]
[세컨드] 모토하시 마리
[리드] 이시자키 코토미
[핍스] 야마우라 마요
[스킵] 왕빙위
[서드] 류인
[세컨드] 웨칭솽
[리드] 저우얀
[핍스] 류진리
[스킵] 셰릴 버나드
[서드] 수잔 오코너
[세컨드] 캐롤린 다비샤이어
[리드] 코리 바텔
[핍스] 크리스티 무어

3.2.1. 각 팀 스킵 간략 정보[편집]



컬링이 시범 종목으로 열린 1992 알베르빌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땄다. 1998 나가노 올림픽(8위)에도 출전했다.

1998 나가노 올림픽(7위, 세컨드)과 2002 솔트레이크시티 올림픽(4위, 서드)에도 출전했다.

2006 토리노 올림픽(6위)에도 출전했다.

컬링이 시범 종목으로 열린 1988 캘거리 올림픽에서도 금메달을 땄다.



  • 메구로 모에(일본): 태평양선수권 1회 우승(2004), 2007 유니버시아드 동메달
2006 토리노 올림픽(7위, 리드)에도 출전했다.


  • 셰릴 버나드(캐나다): 주요 대회 수상 경력 없음

4. 경기 결과[편집]



4.1. 남자[편집]



4.1.1. 예선[편집]


예선 순위국가스킵
1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케빈 마틴90
2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토마스 울스루72
3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마르쿠스 에글러63
4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니클라스 에딘54
5파일:영국 국기.svg 영국데이비드 머독54
6파일:독일 국기.svg 독일앤디 캅45
7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토마 듀포36
8파일:중국 국기.svg 중국왕펑춘27
9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울릭 슈미트27
10파일:미국 국기.svg 미국존 슈스터27

예선 결과 스웨덴과 영국이 5승 4패로 예선 전적이 동일해 타이브레이크에서 승리한 스웨덴이 예선 4위로 결선에 진출했다.

4.1.2. 결선[편집]


  • 준결승전
12345678910결과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예선 4위)001000011X3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예선 1위)010122000X6

12345678910결과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예선 3위)00010201015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예선 2위)01102010207

  • 동메달 결정전
12345678910결과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01002010004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10010100025

  • 결승전
12345678910결과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010110201X6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000002010X3

4.2. 여자[편집]



4.2.1. 예선[편집]


예선 순위국가스킵
1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셰릴 버나드81
2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아네테 노르베리72
3파일:중국 국기.svg 중국왕빙위63
4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미리암 오트63
5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안젤리나 옌센45
6파일:독일 국기.svg 독일안드레아 숍36
7파일:영국 국기.svg 영국이브 뮤어헤드36
8파일:일본 국기.svg 일본메구로 모에36
9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류드밀라 프리비프코바36
10파일:미국 국기.svg 미국데비 맥코믹27

4.2.2. 결선[편집]


  • 준결승전
12345678910결과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예선 1위)10200200106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예선 4위)01011001015

12345678910결과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예선 3위)000101101X4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예선 3위)111030030X9

  • 동메달 결정전
12345678910결과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30201024XX12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01030200XX6

  • 결승전
1234567891011결과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010101201006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002020000217

5. 최종 메달리스트[편집]


최종 메달리스트
종목금메달은메달동메달
남자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케빈 마틴
존 모리스
마크 케네디
벤 허버트
애덤 엔라이트
토마스 울스루
토르게르 네르고르
크리스토페르 스바에
호바르 바드 페테르손
토마스 뢰볼드
마르쿠스 에글러
랄프 스토클리
얀 하우저
시몬 스트뤼빈
토니 뮐러
여자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아네테 노르베리
에바 룬드
카트리네 린달
안나 레 모이네
카이사 베르그스트룀
셰릴 버나드
수잔 오코너
캐롤린 다비샤이어
코리 바텔
크리스티 무어
왕빙위
류인
웨칭솽
저우얀
류진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6 08:08:11에 나무위키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컬링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002 솔트레이크시티 동계올림픽2006 토리노 동계올림픽 때 스웨덴 남자 대표팀 핍스 안데르스 크라우프의 아들[2] 2018 평창 동계올림픽 때 영국 대표팀으로 참가한 카일 스미스와 캐머런 스미스의 삼촌[3] 데니세 두폰트의 동생[4] 마델레이네 두폰트의 언니[5] 카밀라 옌센의 언니[6] 안젤리나 옌센의 동생[7] 스킵 안드레아 숍과는 20년 넘게 같은 팀에서 활동한 사이인데, 둘은 같은 병원에서 불과 8시간 차이로 태어났다.[8] 카트리네 린달의 언니[9] 아네테 노르베리의 동생[10] 카이사 베르그스트룀의 언니[11] 안나 레 모이네의 동생[12] 팀 아오모리[13] 1998 나가노 동계올림픽 때 일본 남자 대표팀 세컨드 오미야 요시유키의 딸